주식 용어 사전 #02 — 거래·호가·차트 16선
이번 편도 “용어 : 뜻 — 해석 포인트 + 예시문” 규칙으로 정리했습니다.
면책 고지
본 글은 정보를 쉽게 전달하기 위한 요약 자료이며 매수·매도 권유가 아닙니다. 투자 판단과 책임은 전적으로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.
호가(Bid/Ask) : 사고자(매수)가 제시한 가격 / 팔고자(매도)가 제시한 가격
실시간 수요·공급이 드러나는 가격
어떻게 보면 좋을까?
- 호가단위가 작을수록 미세 체결이 잦아 체결 속도가 빨라짐.
- 호가대별 매물 집중은 지지/저항의 힌트.
예시문 — “매도 3만2천원에 물량이 쌓여 저항으로 보인다.”
스프레드(Spread) : 매도호가 − 매수호가
호가 간격. 유동성·거래비용의 간접 지표
어떻게 보면 좋을까?
- 좁을수록 체결 용이·슬리피지↓.
- 넓으면 저유동/변동성 경계.
예시문 — “스프레드 1틱이라 체결 부담이 적다.”
호가창/잔량 : 각 호가대의 매수·매도 대기 물량
단기 수급의 단서(벽·지지)
어떻게 보면 좋을까?
- 한쪽 잔량이 과도하면 편향 주의(허수 물량 가능).
- 체결과 동시에 잔량이 빠르게 재충전되면 강한 수요/공급.
예시문 — “3만원 매수벽이 계속 재충전돼 지지로 작용한다.”
체결가·체결강도 : 실제로 거래된 가격·매수/매도 우위 지표
호가가 아닌 실제 수급 확인
어떻게 보면 좋을까?
- 강도가 100%↑면 매수 우위로 해석(지표 방식별 차이는 존재).
- 가격 상승 + 강도↑ 동행이 신뢰도 높음.
예시문 — “돌파 구간에서 체결강도 200%로 추격 수요가 붙었다.”
거래대금 : 거래금액 합계(가격 × 수량)
유동성·관심도의 핵심. 거래량보다 직관적일 때가 많음
어떻게 보면 좋을까?
- 돌파/추세 지속의 연료 역할.
- “거래대금 상위”는 테마/주도주 스캐닝에 유용.
예시문 — “장 초반 거래대금 급증으로 주도 섹터가 드러났다.”
틱/틱사이즈 : 최소 가격변동 단위
틱이 클수록 체결 점프가 커져 슬리피지 위험↑
어떻게 보면 좋을까?
- 초단타/스캘핑은 틱사이즈 영향이 큼.
- 호가단위 변경 공지(거래소) 체크.
예시문 — “틱사이즈 커서 손절 시 미끄러짐 주의.”
동시호가/단일가 : 특정 시간대 주문 일괄체결 방식
장 시작·마감 가격 형성·급등락 완화 목적
어떻게 보면 좋을까?
- 동시호가엔 호가창이 뚫릴 수 있으니 무리한 시장가 주의.
- 시간외 단일가는 재료 반영 체크 창구.
예시문 — “장 마감 동시호가에서 수급이 몰려 종가 돌파가 나왔다.”
상·하한가/VI : 가격제한폭 / 변동성 완화장치
급격한 변동의 브레이크
어떻게 보면 좋을까?
- VI 발동 직후엔 유동성 공백 가능.
- 연속 VI는 추세 과열 신호일 수 있음.
예시문 — “호재 공시 직후 연속 VI로 갭상승이 고정됐다.”
갭상승·갭하락 : 전일 종가와 당일 시가 사이의 빈 구간
재료·수급 변화의 직관적 신호
어떻게 보면 좋을까?
- 갭 메우기 성향 체크.
- 거래대금 동반 시 지속 가능성↑.
예시문 — “뉴스 이후 시초가 갭상승, 첫 30분에 갭 유지 확인.”
캔들(양봉/음봉·꼬리) : 시·고·저·종 4가격을 시각화
수급의 흔적을 한눈에
어떻게 보면 좋을까?
- 장대양봉은 추세 전환/가속의 후보.
- 윗꼬리 길면 매도압력, 아랫꼬리 길면 매수방어.
예시문 — “저항대에서 긴 윗꼬리가 나와 차익매물로 본다.”
지지/저항 : 되돌림이 자주 발생하는 가격대
매물·심리·기술적 이유가 겹침
어떻게 보면 좋을까?
- 막대 거래대금/거래량이 쌓인 자리 주목.
- 지지 이탈은 손절 기준, 저항 돌파는 추세 전환 후보.
예시문 — “전고점 돌파 후 지지로 역전환 확인.”
추세선/채널 : 고점·저점을 이은 선/밴드
추세의 방향·속도 파악
어떻게 보면 좋을까?
- 채널 상단·하단에서 분할 대응.
- 이탈 시 추세 변화 경계.
예시문 — “상승 채널 하단에서 리스크 제한 매수 시도.”
이동평균선(MA)·골든/데드크로스 : 가격의 평균 추세 / 단기선과 장기선의 교차
대표적 추세 추종 도구
어떻게 보면 좋을까?
- 이평 정배열·역배열로 추세 강도 판단.
- 이평만 맹신 말고 거래대금·구조 동반 확인.
예시문 — “20·60이평 골든크로스 후 눌림 지지 확인.”
RSI : 상대강도지수(모멘텀 오실레이터)
과매수/과매도·다이버전스 체크
어떻게 보면 좋을까?
- 70↑ 과매수, 30↓ 과매도로 기준 삼되 맥락이 중요.
- 가격 신고가 vs RSI 하락은 약세 다이버전스.
예시문 — “박스권 상단에서 RSI 75로 과열 신호.”
MACD : 이동평균 기반 모멘텀(라인·시그널·히스토그램)
추세 전환·가속 탐지
어떻게 보면 좋을까?
- 0선 상향 이탈 + 시그널 골든이 강한 모멘텀.
- 다중 타임프레임 일치 여부 체크.
예시문 — “일·주봉 MACD 동시 골든으로 중기 추세 전환 시그널.”
VWAP : 거래량가중평균가격
기관·알고 주문의 벤치마크. 당일 수급축
어떻게 보면 좋을까?
- 가격이 VWAP 상단 유지 시 매수 우위 해석.
- 돌파·이탈 시 거래대금 동반 확인.
예시문 — “종일 VWAP 위에서 움직여 강세 흐름 유지.”
© 이 글은 교육용 요약입니다. 재배포 시 출처 표기를 부탁드립니다.
주식용어 거래 호가창 스프레드 캔들 RSI MACD VWAP